카테고리 없음

2013.8.31 강원도 두타산

말발도리 2013. 9. 2. 15:10

 

2013.8.31 강원도 두타산

 

댓재/햇댓재/통목골이/목통령/두타산 정상 두타산 산성/산성터/무릉계곡/삼화사

--------- 6시간 

두루두루따라    

 

 

우리나라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을 맘 먹고 두르는 사람이 적지않지만 시간도

교통편도 쉽지않은 나는 두타산을 이제야 밟게 되었다

 

동해시 , 두타산 날씨는 일주일 전부터 오후까지 많지 않은 비 예보다  

떠나는 날  아침 부산은 세찬 비가 내렸다 김해 벌판이 깜깜 할 정도로  

그런데 산행 할 때는 시원한 바람에 하산길 3시간은 햇빛까지 좋았으니

기암과 금강송이 자아 낸 풍광에 매료되었다 

거기에다  수백명이 앉아 놀 수 있는 두타산의 중심계곡인 무릉반석의 멋진 모습이 보태졌으니 ...........

 

새찬 비에 깜깜 해 진 낙동강

 

경주시를 빠져나와 동해안 화진포  해수욕장을 지나 내륙으로  

 

먼 여행을  할 때면 연일 계속되는 강행군에도 난 잘 졸지않는다  하루 여행비를  생각하면  느긋하게

즐기는게  잘 안된다 

하나라도 더 보고 느끼고  자연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새로운 나라의   모습을 보겠다고 ...........

언제부턴가 우리나라의 창밖의 풍광을  즐기는 데 익숙해졌다

 들도  이렇게 색깔을 달리하며 비온후의  풋풋한  아름다움을 선사 해 줬다

 

 

백두대간 길 댓재에서 산행 시작하다

먼 강원도에  와 대간 길을 밟는 기분에 가슴 떨렸다

명퇴를 하면 하고 싶은 일   중 하나가 백두대간 하는 것과  뉴질래드 남섬 필포드 트레킹

스페인 산티아고의 ----

 

 

 

단풍취 개발딱지의 꽃이 많이 남아 있었다

몇달전 5월 지리 치밭목산장 뒤에서 한줌 따와 삽스레한 맛을 즐겼는데  지리산표라고

 

요즘 어느 산 습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한창인 물봉선화

 

대간 길 곳곳에는  사람들이 스치고 간  시그널이 예사롭지않게 느껴졌다

잰걸음과 숨가파 헉헉거리는 소리와 연신 땀방울이 뚝뚝흘리면서 걸었을

 

이제 9월이되면  지리 천왕에도 그리고 촛대봉뒤에도 쑥부쟁이와 같이 피는  흰 구절초가

가득이겠다

 

쑥부쟁이

 

고추나물

 

조망은 없었지만  두타산의 원시림에 푹 빠져 즐겨 걸었다  

  

 

하얀 삽주가 싱싱했다  두타산 정상에 설 때까지 내내 볼 수 있었다  

  

 

 

 

여름 고산의   대표적인 보라색의  투구꽃

물 먹은 신갈나무가 멋졌다

 

둥근이질풀

 

  

넘  반갑게 본 분취

두타산 정상

 

행정구역마다  특색있는 두타산 이정표

 

 

산행 중  꽃밭을 만들어 준  수염며느리밥풀

 

삼화사 내려가는 길은 경사가 급했다

스틱 쥔 두팔이 아직 아프다

 

고고한  금강송

 

누룩치

 

여기에서 커피 한잔을 끓여 먹으면서  풍광을 즐겨야하는데 ...

정해진 하산 시간에 뒤는 돌아보이고 난 발자죽이 떨어지지않았다

 

산성12폭포의 상단

 

 

 

 

산성 12폭포-----------한국의 그랜드캐년이라고 소개한 안내판이 있었다

                                         협곡의 규모나 감은  달랐지만  빼여난 자연의 아름다움의 공통점은 있었다

 

 

 

 

두타산성 ------왜적을 물리치기위해 쌓은 석성

 

거북바위와 백곰바위가 있는

 

비 갠 맑은 햇빛과  깨끗한 녹색 빛깔과 그리고 어룰려 나타난   단애

 

 

 

 

자연친화적인  최고의 침목 길이 인상 깊었다 

 

 

 

 

학소대에서

늦은 시간에 도 여유로운 가족들

 

 

 

삼화사

 

삼화사 경내 석탑과 보수중인 법당

 

삼화사 요사채들

 

밖에서 들여 본  전통찻집에는

 

두타산 삼화사 일주문

 

무릉반석

5000 제곱M 풍류를 즐겼던 옛 선비들의  그림과 싯기가

 

 

금란정

---저녁 마실 나온 부부의 유모차와 아기를 보니............  

 

 

 

 

 금강사군첩에 수록 된 김홍도의 무릉계

 무릉 반석과  백두대간의 산새  그리고 소나무를 여기서 보고 묘사했다는 곳

 

무릉계곡 초입에 있는 무릉반석  모형 석각

  

 

식당가를 지나 주차장 가는 길 ---유명 사찰 아래에는  보기에 그럴듯한 식당들이 즐비하다 

 

 호암소--근처 암벽에는  고승이 지나다가 강을 건너 뛰는것을 보고 따라하던 호랑이가 

빠져 죽었다는   암각서가 있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