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117

2025.6.18 지리산 반야봉 2

*일기예보대로 날씨는 쾌청***반야봉5:00 연하천 출발 ㅡ명선봉 ㅡ토끼봉 ㅡ 화개재 ㅡ삼도봉 ㅡ 묘향대(우리나라에서 제일 높은 암자) 들리기ㅡ반야 중봉 ㅡ*반야봉 ㅡ노루목 ㅡ토끼봉 ㅡ삼도봉ㅡ임걸령샘 ㅡ노고단 원점회귀 ㅡㅡㅡ15.7km (10시간 40분)4시에 나와 세수도 여유롭고 취사장에서 뜨거운 물도 얻어 보온병에 채우고쑥떡과 커피로 요기하고 5시 20분 걸음 시작하다두루미꽃백당나무꿩의다리가 막 꽃을 틔워여로가 힘 있게 정향나무꽃이조망이 트여토끼봉화개재에 시간계획 없이 새벽 2~3시 일어나 걸음 한 사람들이 아침 요기를 하고 있다화개재에서 반야봉을 뒤로 한컷하고호범꼬리가 아침 햇살에 더삼도봉 전망대에서삼도봉묘향대 가는 초입거의 한 시간을 주등로에서 들어오니 노란 함석지붕이 보이고묘향대스님이..

지리산 2025.06.19

2025.5.30 천왕봉 써레봉

*어제 오후부터 온 우박과 작은 비로 바위가 살짝 미끄러워,아침 가스가 많았으나 이후 햇빛에 선선하니 산행하기 최적이었다.***천왕봉 중봉 써레봉장터목대피소 ㅡ 제석봉 ㅡ 천왕봉 ㅡ 중봉 ㅡ써레봉 ㅡ치밭목대피소ㅡ새재삼거리 ㅡ유평 마을ㅡ대원사 ㅡ대원사주차장ㅡㅡㅡ15.5Km( 11시간 )*장터목에서 ㅡ1.7Km 천왕봉 ㅡ4.0km 치밭목대피소ㅡ1.8km 새재ㅡ4.4Km 유평*치밭목대피소에서~새재(4.8Km)~대원사 (7.7Km)~대원사버스정류소(9.8Km)♧ 2025년 6월 3일 '산' 에서 읽은 6월 지리산 중봉으로 가보시라. 고산지대 특유의 색감을 가진 아름다운 산철쭉이 반길 것이다. 촬영 당시 카메라 설정값카메라 니콘D850, 초점거리 17mm, 노출보정 +0.3, 조리개 값 F9, 셔터스피드 1..

지리산 2025.05.31

2025.5.29. 지리산 촛대봉 연하봉

*오후 1시까지 햇빛 이후 비 우박 조금*** 지리산 연하봉거림골 ㅡ삼거리 ㅡ 세석대피소 ㅡ촛대봉 ㅡ 장터목대피소 ㅡ1박ㅡㅡ10.5km (8시간) * 거림골에 예상보다 1시간 빨리 도착해 9시부터 걸음을 시작했으니 널널 즐기는 시간이 여유 있어 부담이 전혀 없었다 걸음을 더해갈수록 털진달래 고운빛에 얼굴까지도 연분홍에 물들고 온통 야생화 천국에서 장터목까지 까불다가 웃다가 도착했으니 ㅎ싱싱하니 예쁜 꽃밭을 선물로 받은 기분은 또 오후빛의 연하선경길은 행복이었다.이미 알고는 있었지만 더위에 비에 고마웠던 아크테렉스 옷들은험한 상황에서 더 빛을 말한다거림골 내내 땀을 흘렸지만 나이론이 섞인 옷과는 다르게 윗옷을 벗지 않아도 쾌적함을 느꼈다.ㅡ부산동래시외버스정류소 6시 10분 진주행ㅡ7시 50..

지리산 2025.05.30

2024.12.21 지리산 의신골

* 아침이 어두울 만큼 지리산은 두어 시간 소량의 사락 눈이 내리고 햇빛도 잠깐 바람은 그다지 차지 않았다*지리산 의신골 오랜만에 든 지리산은 의신골 초입까지 잊고 있었다.몇 달 만이야대성마을 한 시간은 지리에 들었다는 것으로 흥분되었다.익숙한 대성골을 오르고 내리는데 기억소환의 즐거움이 보태기 되어하동에서 사우나 돼지고기로 저녁을 하고 지담의 익숙한 사람들과 새로운 화초 안프로 올리브? 보낸 괜찮은 하루였다 의신마을 초입 이정목에꽁 잠시 잊고 있었던 초입* 의신은 이정목 지리 02 ㅡ01 넘버로 시작*♧♧세석대피소까지는 약 9Km이것은?잎 떨어진 회색 빛 대성골에 남은 단풍나무색이 대조되어대성골에 이런 큰 바위들이 있었다는 걸 이제야 보였으니여유 없었던 걸음에마를 후박나무가 반갑다마른 겨울감나무 앙증..

지리산 2024.12.23

2024. 9.28 지리산 우번대 종석대

* 9.28 비올것같은 흐린 날에 바람도있어 산행하기는 최적 ***지리산 우번대 종석대 그리고 노고단 ♤유쾌하지않은 천은사 문화재관람료 징수로 악명이 높았던 천은사. 성삼재 지나는 차량을 막고 통행료를 징수하니 잦은 실랑이가 빚어졌던 곳이다. 2019년 4월부터 문화재관람료 징수가 폐지되었고 성삼재에서 우번암 가기 위해 계단 버리고 임도로 무냉기 우측 통제된 숲길에서(CCTV설치) 한걸음 더 우측으로 그늘 진 숲길이 상쾌하다 옛 바닷물이 여기까지 노고단 송신탑이 보이고 원안은 새로 완공한 노고단대피소 내 뒤가 노고단 쪽 머리 위의 종석대 자꾸 눈이 가 암봉이 멋지다 통제된 숲에서도 나름 볼 것은 많아 개화가 얼마 남지 않은 억새가 우번대 길은 생각했던 것보다 제법 상그럽다 습기 있는 숲에서 아직 바위떡풀..

지리산 2024.09.30

2024.8.17~18 백운계곡 세석산장

8.17 *경주황성공원 ㅡ맥문동출사와 황톳길 걷기 백운동계곡 8.18 *거림골 ~세석산장 오르내리기 아직 꽃은 덜 피어 풍성하지 않았다. 1시간 황톳길 걷기로 마무리하고 *백운동계곡 거의 통반 암반으로 피서로 물놀이하기에 유명세를 타 계곡 가득 사람들이었다 이렇게 사람이 모이다니 입추의 여지가 없어 놀랐다. 계곡 물은 흐려 😢 ㅠ 차량통제 하는 아저씨가 바쁘다 크고 작은 폭포와 소가 아름다워 백운교에서 하산 *거림골 올라간 세석대피소 이태리 돌레미티 다녀온 여독으로 아침엔 30분 수영으로 그리고 남문 걷기 3시간으로 그렇게 지내다 지리에 들어섰다 제일 부드러운 길로 들어서 여유를 부리고 산장에서 30분으로 누워 노닥거리다 내려왔다 지리를 즐겼다 내 힘대로. 세석산장이 이렇게 조용하다니 ㅠ

지리산 2024.08.21

2024. 7. 13 국골(國谷), 날끝산막골 두류봉

*잠깐 든 흐린 날씨에 불안해하며 간 국골, 날끝산막골, 두류봉 추성 - 국골 - 날끝산막골 - 이끼(천상) 폭포 - 동부능선 - 두류봉 - 두류봉능선 - 추성ㅡㅡㅡ13km(11시간 20분) *국골은 초암능선을 사이에 두고 칠선계곡과 이웃해 있다. 추성산장에서 시작한 등산로는 본류를 두 번 건넌 다음 고도 890m 지점의 좌측 지계곡을 건너 능선과 사면을 거쳐 국골사거리로 이어진다. 이 등로를 따른다면 아쉽게도 국골의 진면목을 볼 수 없다. 고도 1,050m 이상에서 본모습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 골짜기의 중, 상단인 - 고도 1,050m 지점에서 두 개의 골짝으로 갈라진다. 지형도엔 하봉과 두류봉 사이로 올라가는 좌측 골[날끝산막골]이 본류임이 분명하지만 실제 현장에는 우측 골[선골]이 본류 형세를 ..

지리산 2024.07.15

2024. 6.16. 작은조개골 그리고 마암

*2024.6.16. 일찍 더위가 와 6월 중순인데도 기승을 부리는데 지리는 걸을 때 잠시 빼고는 살랑바람에 추위를 느꼈다. ♤작은 조개골 그리고 마암 위새재 ㅡ조개골 ㅡ철모삼거리 ㅡ작은조개골 ㅡ기도터 ㅡ마암 ㅡ하봉옛길 ㅡ청이당터 ㅡ청이당골 ㅡ철모삼거리ㅡ조개골 ㅡ윗새재 ㅡㅡㅡ9.74Km (8시간 50 분) 윗새재에서 8시 산행 시작하다 윗새재에서 대원사 주차장 7.20km, 천왕 8.8km, 치밭목대피소 4.8km. 라니 천왕봉 일출 보고 내려와 대원사까지의 긴 길에 혼자 아무 생각 없이 내렸던 그 길에서 인내가 얼마나 ㅠ 08ㅡ01길 들머리입구에서부터 얼마 떨어지지 않는 곳에 반달가슴곰 붉은색 표식기가 통제된 길 뒤에는 바로 감시용 카메라가 있어 계곡을 내려가 한참을 우회하여 철모삼거리 우량측정탑 오래..

지리산 2024.06.25

2024.5.25 지리산 칠선계곡

*2024.5.25 그늘 지고 선선한 바람도 *지리산 칠선계곡 경남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추성ㅡ 두지동ㅡ선녀탕 ㅡ옥녀탕 ㅡ칠선폭포ㅡ 삼층폭포 ㅡ마폭포ㅡ주릉 만남) ㅡ 천왕봉 ㅡ제석봉 ㅡ장터목 ㅡ하동바윗길 ㅡ백무동 ㅡㅡㅡㅡ17.15Km(10시간 40분) 지리산 칠선계곡 탐방예약기간은 5~6월. 9~10월로 요일은 금 토 일요일 각각 60명으로 올해부터 가이드 없이 출발 대신 트랙커위치추적기 및 국립공원 예약자 네임택 부착하고 산행을 시작 (덕분에 사진촬영 시간이 자유롭다) 국립공단인터넷 신청으로 6시에 추성 주차장 도착 6시 등록하고 준비운동 칠선계곡 생태계보호에 주민들은 살기 위한 반응을 이렇게 인조석의 등로도 탐방로 입구도 낯익다 (경남 함양군 지리산국립공원 두지동 가는 길 두지동은 새로운 건물로 탈..

지리산 2024.05.28

2024.5.15 지리산 칠암자

*초파일 아침은 일단 햇빛이 3시 이후 지리산은 2.4mm의 강수량이 【지리산 7 암자 순례길】 지리산 뱀사골 동쪽 산록인 삼정산 (1225m) 자락 산 허리에 있는 3개의 절과 4개의 암자 도솔암, 영원사, 상무주암, 문수암, 삼불사, 약수암 실상사를 다녀왔다. ▶동래세연정(07:15 ) 오륙도관광 오지트레킹 경남 함안군 마천면 음정마을 ⇨ 도솔암(1165m )⇨영원사(895m) ⇨ 상무주암(1162m) ⇨문수암(1060m)⇨삼불사(990m) ⇨약수암(560m) ⇨실상사(330m) ⇨ 남원시 산내면 백일리ㅡㅡㅡㅡ15.7km (7시간) 음정마을 음정마을버스정류소가 있는 벽소령 가는 임도 15분 이후 우측 등로로 힘든 오름 후 만나는 능선 삼거리 너른 터(삼정산과 빗기재와 만나는) 도솔암 경내 샘 도솔암 ..

지리산 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