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0 31 충청도 3(갑사.동학사. 장태산자연휴양림)
셋째 날
대전시 외곽에서 묵다
시설은 첨단인데 수안보온천 객실하나7만원보다 싼 5만원이란다
갑사(계룡산 국립공원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로 이동해 30분소요/다시 동학사로
/장태산 자연휴양림 산책 4.5Km(1시간 30분)
1시간 소요 대전역으로7시 17분 부산행
갑사
* 하늘과 땅과 사람 가운데서 가장 으뜸가는 사찰 *
노송과 느티나무 숲이 우거진 계룡산의 서북쪽 기슭에 위치한 절이다.
공주에서 19km 떨어져 있고, 동학사에서 도보로 3시간 정도면 갈수 있는 거리에 있다.
춘마곡, 추갑사라는 말이 암시해주듯이 갑사의 가을 단풍은 더없이 아름답다.
삼국시대 초기 백제 구이신왕 원년(420)에 고구려에서 온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
통일신라 화엄종 십대사찰의 하나였던 명찰이다.
절 주위에는 용문폭포, 수정봉, 천진보탑, 군자대 등 수려한 경승이 줄지어 있으며 특히 남쪽 계곡은 이른바 9곡을 이루어 절경을 이룬다.
* 갑사 강당
도지정유형문화재 제95호 승려들이 법문을 강론하던 건물로 계룡갑사라는 현판이 붙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가구에 기교를 부리지 않은 웅장한 조선시대 건축물이다.
[문화재 정보]
공주 갑사 철당간 (보물 256호), 공주 갑사 승탑(보물 257호), 갑사삼신괘불탱(국보 298호),
갑사동종(보물 478호), 월인석보목판(보물 582호), 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충남 유형문화재 50호),
갑사석조보살입상(충남유형문화재 51호), 갑사사적비(충남유형문화재 52호), 갑사강당(충남유형문화재 95호), 갑사대웅전(충남유형문화재 105호), 갑사대적전(충남유형문화재 106호), 갑사표충원(충청남도 문화재자료 52호), 갑사삼성각(충청남도 문화재자료 53호), 갑사팔상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54호), 천진보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68호)
헤숙이의 새벽 시간
수십년을 일상의 글을 써 온 그리고 새벽 절하기와 불경 쓰기를 그리고 암자 찾아보기까지 형편따라 시간
내어 게을리 하지 않으니 어찌 일상이 진지하지않으며 남을 생각하는 맘이 일반인과는 다르지않으랴
존경스럽다
일찍 간 갑사는 아침이라 더 단풍이 아름답게 보였다
동학사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절)
동계사(東鷄寺)라고도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6·25전쟁 때 옛 건물이 모두 불타 없어졌다가 1960년 이후 서서히 중건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삼성각·동림당·조사전·숙모전·육화당·염화실·강설전·화경헌·범종각·실상선원·동학강원(東鶴講院) 등이 있다. 이 중 동학강원은 운문사의 강원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비구니 강원으로 손꼽히고 있다. 산내암자로는 관음암·길상암·문수암·미타암·귀명암·상원암 등이 있다. 이 절이 소유하고 있는 중요 문화재로는 삼성각(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7호)과 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이 있다.

가
동학사에서 갑사까지 이어지는 계룡산 산행
계룡산에는 다양한 산행 코스가 있다.
동학사 코스, 갑사 코스, 신원사 코스, 수통골 코스 등으로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탐방로가 돌계단과 바위로 되어 있어 그리 쉬운 코스는 아니다. 제대로 등산 코스라 볼 만하다. 대체로 돌계단으로 이루어진 급경사가 많아 ........ 하지만 정비가 잘된 국립공원답게 돌계단이 촘촘해 걷는 사람에게는 나름 친절한 길이기도 하다. 걸어볼 만하다는 얘기다.
그중 동학사에서 남매탑과 삼불봉고개를 지나 금잔디고개를 거쳐 갑사로 이어지는 편도 약 5킬로미터의 길은 가을의 정취를 물씬 느끼고 동학사와 갑사를 두루 둘러볼 수 있는 코스다. 동학사에서 삼불봉고개까지는 '이것이 산행이다' 할 정도로 쉼 없는 오르막이 이어지다가, 금잔디고개로 내려서면서 갑사까지는 줄곧 내리막이다. ----------퍼옴
동학계곡의 단풍
메타쉐퀘이어가 많았던 장태산 자연휴양림